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투인원 TCS 정속형 에어컨 패밀리모드-솔로모드 이용해서 전기절약하기 - 간헐냉방 비교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2023년 여름입니다. 그동안 한여름 폭염기간 동안 누진세를 피하기 위해 간헐냉방 방법을 알아내서 잘 버텼었는데.. 일단 그동안 간헐냉방으로 에너지를 절약했던 부분은 지난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72 (최초 간헐냉방 구현)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169 (2020 간헐냉방 기록)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229 (2021 간헐냉방 기록)

올해는 좀더 시원하게 지내자는 가족들의 의견에 따라 좀더 적극적으로 에어컨을 이용해 봤습니다. 저희집 에어컨은 2009년에 구입한 삼성 TCS 초절전 에어컨으로 두개의 압축기가 있어 세가지 모드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즉, 초반에 패밀리 모드로 강력하게 작동시켰다고 어느 정도 온도가 안정화되면 약한 솔로 모드로 작동함으로서 전기를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인버터 에어컨의 기능을 어느 정도 구현하는 기술로서 절전모드로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최적의 조건으로 구동가능할 것 같습니다. 


올해 이 방법으로 에어컨은 가동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시간 가동했는데.. 생각보다 전기사용량이 많지 않았습니다. 가족들은 훨씬 쾌적하다는 반응입니다. 아무래도 초절전 TCS 모드가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자.. 아주 간단한 정속형 에어컨일 경우 간헐냉방이 도움이 될 것 같고, 좀 더 쾌적함을 추구한다면 압축기가 두개인 에어컨인 경우 패밀리와 솔로 모드를 적절히 활용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추가 2023/8/7) 주말 이틀동안 외출 거의 안하고 24시간 가동했더니 20 kWh 정도 사용하네요. 이 정도면 만족스러운 사용량인 것 같습니다. 위에 간헐냉방 링크 확인해 보면 결국 하루 종일 가동할 때는 간헐냉방도 대략 20 kWh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그랜저IG MDPS 핸들 소음 스몰베어링 DIY 교체로 해결하기

최신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에 MDPS 핸들이 많이 장착되어 있는데, 구조적으로 개구리 소음부터 스르륵 소음까지 다양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잘 못느끼면서 그랜저IG 타고 지내다가 최근 스르륵 소음이 심해져 수리 방법을 알아봤더니.. 스몰베어링이라는 부품을 교체하면 해결된다고 합니다. 수리하면서 자세히 들어보니 스르륵 소음에 끼리릭 개구리 소음까지 복합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스몰베어링를 DIY로 탈거하려면 특별한 탈거 부착 공구가 필요한데, 쿠팡에서 3만원에 구매했습니다. 구매 좌표는  https://link.coupang.com/a/5ZFDH  입니다. 스몰베어링은 현대자동차 부품판매점에서 3천원이 구매할 수 있습니다. 블루핸즈에서 수리하면 5-6만원 정도 들어간다고 하니.. 대략 반값에 수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DIY에 자신이 없으신 분들은 블루핸즈 서비스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진은 스몰베어링 탈부착 과정입니다. 아래 영상은 6년된 6만키로 주행한 그랜저IG의 스몰베어링를 DIY로 교체하는 영상입니다. 여러가지 공구가 필요한데 특히 장착할 때 해머가 필요했습니다. 작업은 대략 2시간 정도 걸렸는데.. 의외로 힘이 듭니다. 특히 스몰베어링을 탈부착할 때 망치질할 공간이 나오지 않고 꺼꾸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조금 힘겨운 측면이 있었습니다. 조금 힘들었지만 스몰베어링 교체 후 스르륵 소음은 완전히 사라져서 보람은 있었습니다. 아마 다음 6만키로 다시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때를 위해 장비는 잘 보관하겠습니다. 스르륵 소음이 사라지니 끼리릭 개구리 소음이 또렷하게 들립니다. 개구리 소음은 원천적 해결이 어렵다고 하던데.. 핸들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과 핸들 사이에 유격이 발생해서 개구리 소음이 난다고 합니다. 개구리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핸들 에어백을 잡고 옆으로 살짝 강하게 비틀었더니.. 신기하게 개구리 소음이 사라졌습니다.  그럼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는 현대, 기아 자동차 오너분들은 참고하시기...

아르펠 전동 빨래건조대 DIY 수리 성공 후기

12년 된 아파트의 베란다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아르펠 전동 빨래건조대가 아래로 내려와서 올라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우선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282   고장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니 빨래건조대 내부의 구동롤러라는 플라스틱 부품이 파손되어 줄을 감아주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아르펠에 연락해서 호환되는 부품을 구할 수 없느냐고 하소연을 해 봤는데, 다행히 100% 호환 제품은 아니지만 그냥 저냥 개조해서 장착할 수 있는 구동롤러를 보내주었습니다. 택배비 포함 8천원에 구매했습니다. 우선 강력접착제로 기존 파손된 구동롤러를 복원해서 작동시켜 보려고 했으나, 결국은 실패했습니다. 모터의 강력한 힘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 부러졌습니다. 그 다음으로 시도한 것은.. 새로 구매한 구동롤러가 모터와 접촉되는 부분이 스타디움 형태인데 기존 모터에 장착하려면 한쪽을 원형으로 갈아줘야 했습니다. 처음엔 칼로 도려 낼려고 했으나 어림도 없고, 전동드릴의 옆면을 이용해서 갈아 줬더니 아래 사진처럼 깔끔하게 원형으로 갈아졌습니다. 이 구동롤러를 장착했더니 정상적으로 작동했습니다. 자세한 수리 과정은 아래의 두 영상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DIY 수리 과정에서 한가지 특이하고 재미있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구동롤러 장착하고 그동안 분해했던 부품 다 장착하고 벽면에 붙어 있는 컨트롤러 음악 버튼을 길게 눌러 리셋을 해서 건조대를 정상적으로 감아 올렸지만.. 이후 버튼을 눌러도 아무 반응을 안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원래 작동하던 전등이나 팬모터 돌아가는 버튼도 먹통이 되었습니다. 정상적으로 수리가 된 것 같은데.. 왜 반응을 안할까 거의 이틀동안 고민하며 해결방법을 찾았는데.. 어느 순간에 전원을 리셋해야 한다는 영감을 강력하게 받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분해 안하고 전원을 리셋하는 방법을 또 한참 고민했는데, 천장 ...

삼성 하우젠 투인원 에어컨 E101 실내-실외기 통신 에러 해결하기

14년간 잘 사용하던 삼성 하우젠 투인원 에어컨이 갑자기 에러코드를 만들어 냈습니다. 장마가 한창일때 거실 실내기 LED 창에 E1 01 코드가 반복되면서 작동을 멈췄습니다.  일단 메뉴얼을 찾아 어떻게 해야 하나 살펴보니..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랍니다. 메뉴얼은 별로 도움이 안되네요. 다음으로 인터넷을 조금 찾아 보면 E101 에러는 실내기-실외기 통신에러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실외기에 뭔가 문제가 발생할 경우 E101이 나타난다고 하는데.. 가장 손쉬운 해결은 실외기의 전원을 뺏다가 다시 연결하는 겁니다. 대부분은 이걸로 해결된다고 해서 저도 시도해 봤습니다. 차단기를 내리고 다시 올리니 얼마 정도는 돌아갔습니다. 그렇게 며칠을 사용했는데.. 이후에는 차단기를 내렸다 올려도 금새 E101이 뜨면서 에어컨 작동이 멈췄습니다.  이제 문제는 조금 복잡해 져서 조금 더 공부를 해야 했습니다. 결국 콘덴서 교체 및 기판 교체를 통해 수리를 했는데.. 생각보다 증상은 복잡하게 변화했습니다. 다음 동영상을 통해 삼성 에어컨 E101 에러코트를 없애는 과정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실외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많은 분들이 콘덴서가 불량이고 콘덴서 교환으로 쉽게 해결이 됐다는 후기글들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조심스럽게 콘덴서가 불량인지 확인해 보려고 이것 저것 측정하는 방법을 공부했습니다.  콘덴서는 축전지라고 캐패시터죠. 즉 전하를 두 금속판과 유전체 사이에 저장하는 부품입니다. 극성은 없고, 전류를 흘리면 초반에 전류가 흐르다가 전류가 꽉차면 단락 상태가 됩니다. 정상 부품을 경우 이렇게 되고 불량인 경우 단선이 되서 전류가 계속 흐르게 됩니다.  일단 실외기의 부품을 열어 보니 25 uF과 35 uF 짜리 기동콘덴서가 두개 달려 있었고, 4 uF 짜리 팬모터 콘덴서가 붙어 있었습니다. 붙어 있는 상태에서 저항 테스트를 했는데.. 모두 단락 상태로 쉽게 가는 것 같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일단 14년이나 되었고, 딱히 불량으로...